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할인의 함정, 이미 예견되어있건 티몬,위메프

by 강가라군 2024. 7. 28.

티메프 사태의 배경과 전개

최근 티몬과 위메프(이하 티메프) 사태가 큐텐의 유동성 위기로 번지며 회사의 존폐 기로에 섰다. 이 사건은 이미 업계에서 예견된 일이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무리하게 인수한 기업들이 지속적인 적자를 내면서 유동성 문제가 발생했으며, 무리한 상품 판매가 지속된 것이 사태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소비자 불만과 환불 처리

2024년 7월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쏟아진 항의에 티몬은 본사에서 새벽부터 공식적인 환불 신청 절차를 진행했다. 당시 현장에는 약 2500명의 소비자가 대기 중이었다. 티몬은 환불 한도를 30억원으로 언급했으나, 실제로는 오후까지 약 300명만이 환불 조치를 받았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티메프 대금정산 지연 사태와 관련해 소비자원에 접수된 상담 건수는 4127건에 달했으며, 특히 여름 휴가 시즌에 여행 관련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의 상담이 많았다.

업계 반응과 문제점

티메프 사태에 대한 업계 반응은 ‘곪은 게 터졌다’는 것이다. 국내 이커머스 기업들은 과거부터 높은 할인율을 내걸고 공동 구매를 통해 다수의 소비자를 모집해왔다. 이를 통해 박리다매 형식으로 실적을 내는 전략이었으나, 오히려 ‘출혈 마케팅’ 경쟁이 치열해져 역효과를 낳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티메프의 상품 할인율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문화상품권의 경우 현금성인데 보통의 경우 할인율이 2~3% 수준으로 결정된다"며, "5%만 되어도 할인이 많이 되었다고 생각하는데, 10%, 20%까지 가는 정도면 사실상 티몬이나 위메프가 현금 마련을 위해 마진을 크게 줄인 것"이라고 언급했다.

큐텐의 인수와 유동성 문제

싱가포르 기반의 이커머스 플랫폼 큐텐은 티메프 등 국내 이커머스 기업을 연이어 인수하며 거래 규모를 키우는 데 집중했다. 그러나 자본 유동성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것이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티메프는 자본잠식 상태를 지속해왔다. 티몬의 2022년 말 자본총계는 -6386억원, 위메프의 지난해 말 자본총계는 -2398억원으로 자산보다 부채가 많아 자본총계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이로 인해 셀러들에게 판매 대금을 정산하기 힘들 정도로 재무 상황이 악화되었다.

핵심 인력의 이탈

티메프의 핵심 인력도 빠져나가고 있다. 티몬에서는 언론 홍보를 담당하던 실장과 PR 업무를 총괄하던 부사장이 사임했다. 이러한 인력 이탈은 회사 내부의 불안정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커머스 업계의 신뢰도 타격

티메프 사태로 인해 국내 이커머스 업체의 신뢰도에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현재 온라인 플랫폼의 경우 국경을 초월하여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내 이커머스의 부정적인 상황이 외부로 노출되면 다른 이커머스 업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런 사태가 터지기 전에 온라인 플랫폼을 규제할 수 있는 관련 법률을 속히 도입해 소비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론

이번 티메프 사태는 단순히 하나의 기업 문제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이커머스 업계 전체가 이번 사태를 통해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적 제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는 단순히 기업의 생존을 넘어서,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